오늘의 이슈 6/20

2025. 6. 20. 11:10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국내이슈

 


1. 이재명 정부, 2차 추경안 확정

 

 

  • 6월 19일 이재명 대통령은 경기 부진과 물가 안정 등을 고려한 30.5조 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 10조 3천억 원 규모 전 국민 25만 원현금 지원, 건설·AI·중소기업 지원, 소상공인 채무 구조조정 등 포함.

  • 국채 발행 19.8조 원으로 재정적자는 GDP 대비 4.2%, 국가부채는 49.0%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2. 자금시장: 외국인 한국 주식 5월 순매수 전환

 

  • 5월 외국인 투자자들이 2.01조 원 순매수하며 9개월 연속 매도 흐름을 끝냈습니다.

  • 금융당국은 이를 경기 회복 신호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3. 세계 난민의 날 기념 행사 (6/20) – 서울

 

  • 서울에서 열린 행사에는 약 200여 명(한국인 포함 100여 명의 난민)이 참여했으며, Jumma 전통무용, K‑POP, 아프리카·미얀마·에티오피아 등 난민 청소년들의 무대가 선보였습니다.

  • 난민이 주체가 돼 서로 이해와 연대를 표현하는 행사로, 올해는 실내에서 “함께 걷기” 캠페인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4. BTS 팬들, 국제 입양인 지원 캠페인 전개

 

  • BTS 군 복무 종료를 맞아 글로벌 팬덤 ‘ARMY’가 국제 입양인의 정체성 회복 및 가족 찾기를 지원하는 ‘#ReuniteWithBTS’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 한국 정부의 과거 입양 과정 문제를 지지하며 활발한 후원 활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5. 외국인 체류자, 2차 경기부양 바우처 대상 포함 여부 불확실

 

  • 정부13.2조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에 15만 원 이상 바우처 지급을 포함했으나, 외국 체류자의 포함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 작년 코로나 긴급지원 당시 서울 거주 외국인은 일부 비자 유형에 한해 지원받았으며, 이번 추경에서 기준과 대상 검토가 필요합니다.  

 

 

6. 북한, 순안 일대 다연장 로켓 발사

 

  • 6월 19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북한은 순안 일대에서 다연장 로켓을 10여 발 발사했습니다.

  • 재래식 무기의 한반도 발생은 군사 긴장을 제고할 수 있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7. 대한·대만 관광청, 올해 상호 방문객 300만 명 목표

 

  • 목포에서 개최된 한·대만 관광대회에서 상호 방문객 300만 명 달성을 올해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 특히 MICE·‘타이완 바이브’ 등 문화 경험을 바탕으로 관광 교류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8. 중동 사태 영향? 이스라엘 방공망 뚫린 사례로 인해 한반도 안보 우려 증대

 

  • 이란의 미사일이 이스라엘 방공망을 뚫은 사례가 전해지면서, 북한의 ‘혼합·대량 로켓’ 공격 가능성에 대한 경고가 국내 안보 전문가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9. Uijeongbu서 컬링 국가선발전 개최 중

 

  • 의정부 컬링경기장에서는 6월 19일부터 27일까지 남·녀 한국 컬링 국가대표 선발전이 진행 중입니다.

  • 20일 오후 2시주요 라운드 예정이며, 이 대회 우승팀은 국제 무대 출전권을 획득합니다.  

 

 

10. 전국 미세먼지 동향

 

  • 미세먼지(PM10·PM2.5): 전국 ‘좋음’

  • 오존(O₃): 전국 ‘보통’

  • 대기 상태: 청정, 실외 활동 적극 권장

 

11. 전국 자동차용 LPG부탄 동향 ( 2025년 6월 20일 기준 )

 

  • 전국 평균: 1,074.25원/ℓ

  • 6월 18일: 1,074.27원 →

  • 6월 19일: 1,074.25원 (전일 대비 0.02원 하락)  

 

🔍 지역별 평균 (6월 19일 기준)

 

  • 서울: 1,133.61원/ℓ

  • 부산: 1,067.24원/ℓ

  • 대구: 1,091.29원/ℓ

  • 인천: 1,071.08원/ℓ

  • 광주: 1,079.55원/ℓ

  • 대전: 1,057.73원/ℓ

  • 울산: 1,080.41원/ℓ

  • 경기: 1,070.45원/ℓ

  • 강원: 1,106.48원/ℓ

  • 충북: 1,081.08원/ℓ

  • 충남: 1,080.31원/ℓ

  • 전북: 1,034.13원/ℓ

  • 전남: 1,088.31원/ℓ

  • 경북: 1,063.95원/ℓ

  • 경남: 1,049.90원/ℓ

  • 제주: 1,110.52원/ℓ

  • 세종: 1,080.29원/ℓ  

 

👉  전국적으로 자동차용 LPG 가격은 대체로 1,070~1,080원/ℓ 수준이며, 서울은 다소 높고 전북이 가장 낮습니다. 실시간 지역별 최저가는 앱 또는 LPG 충전소 정보 서비스를 통해 확인하세요.

 

 

12. 스포츠 경기 일정


⚾ MLB (메이저리그) 일정

 

  • 한국 시간 기준: 대부분 20일 밤 8시 ~ 11시 사이 시작

  • 대표 경기 (예시): 클리블랜드 vs 샌프란시스코, 보스턴 vs 샌프란시스코 등  

 

 

🏀 NBA 파이널 (Thunder vs Pacers Game 6)

 

  • 미국 동부 기준: 오후 5시 30분 ET

  • 한국 시간: 21일 오전 6시 30분 개시  

 

 

🏏 크리켓 – 잉글랜드 vs 인도 1차 테스트 (리즈)

 

  • 시작일시: 6월 20일 오전 11시 BST

  • 한국 시간: 저녁 7시 시작, 토스는 6시 30분  

  • 일정: 20일 ~ 24일, 매일 오전 11시 시작  

 

 

⚽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 그룹 스테이지



6월 20일 경기 일정 (ET 기준)

 

  • 벤피카 vs 오클랜드 시티 – 12:00 PM ET (한국 시간 1:00 AM)  

  • 플라멩구 vs 첼시 – 2:00 PM ET (한국 시간 3:00 AM)  

  • 레온 vs ES 튀니스 – 6:00 PM ET (한국 시간 7:00 AM)  

  • 바이에른 뮌헨 vs 보카 주니어스 – 9:00 PM ET (한국 시간 10:00 AM)  

 


📌 참고사항

 

  • MLB는 다양한 팀 경기로 밤새 진행됩니다.

  • NBA 파이널 G6은 새벽에 결정적 순간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 크리켓은 토스 직후부터 저녁 7시부터 즐길 수 있습니다.

  • 축구 클럽월드컵은 새벽부터 아침까지 연이어서 방송됩니다.

 


국제이슈



1. 이란–이스라엘 충돌 심화

 

  • 이란, 이스라엘 병원 공격: 이란이 이스라엘 남부 베르셰바의 병원을 미사일로 공격해 수십 명이 다쳤으며, 클러스터탄 사용 의혹도 제기되었습니다.

  • 이스라엘의 반격: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 및 군사 시설(핫다브, 아락 등)을 타격했으며, 방사능 위험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미국의 대응 고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주 안에 이 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 다국가 외교 움직임: 영국, EU, 중국, 러시아 등은 외교·대화 촉구, 호주 정부는 테헤란 주재 대사관 운영 중단을 발표했습니다.

 

 

2. 스위스 중앙은행 정책금리 0%로 인하

 

 

  • 스위스 중앙은행(SNB)이 정책금리를 0%로 0.25%p 인하하고, 은행 예치금 한도에 일부 차등 금리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 이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둔화와 금융시장의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선제적 대응으로 분석됩니다.

 

 

3. 북아일랜드 반이민 폭동

 

  • 6월 초부터 로맨아니안 소녀에 대한 성폭력 피해 사건 등에 반발한 폭동이 헤더포드·벨파스트 등지에서 발생, 경찰 64명 부상·수십 명 체포되었습니다.

  • 소요는 반이민·극우 세력 주도로 전개되고 있으며, 경찰·의회는 사태 진화에 나섰습니다.

 

 

4. 스웨덴 외교장관, 헤이그 NATO 정상회의 의제 논의

 

  • 6월 20일(금) 오후 4 PM ET(한국 시간 5월 21일 새벽)에 애틀랜틱카운슬 주최 웨비나에 참석해, 스웨덴의 국방 강화 노력 및 NATO 정상회의 주요 의제(안보비 지출 증가 등) 논의 예정.

  • NATO 정상회의는 6월 24–25일 헤이그에서 개최되며, 유럽의 방위 역량 강화 및 우크라이나 지원 확대가 주요 의제입니다.

 

5. 뉴욕 가자 평화 회의 연기

 

  • 원래 6월 17–20일 예정이던 뉴욕 UN 총회 주최 가자 평화 정상 회의가 최근 이스라엘‑이란 간 군사 충돌로 인해 연기되었습니다.

  • 회의 목표는 하마스 무장 해제, 인질 석방, 2국가 해법 재강조 등이었으나, 현실 정치 상황이 난항 요소로 작용한 상태입니다.

 


아시아 이슈



1. 미국, 한국 등 아시아 동맹국에 국방비 G PD의 5% 요구

 

  • 미 국방부는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주요 동맹국들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5% 수준의 국방 예산을 지출해야 한다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배경에는 중국의 군사력 증강,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그리고 인도·미얀터의 확대 등이 있으며, 미국은 이를 유럽 나토 연대 기준처럼 아시아에도 적용하려는 모양새입니다.

 

 

2. 🌱 아시아-태평양 기후 리더십 강조

 

  • Statista 및 FT 분석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이 글로벌 전력 부문 배출의 약 2/3를 차지하는 가운데, 태양광·풍력 확대에도 석탄 의존도가 여전합니다.

  • 대만 및 일본의 기업들온실가스 저감 리더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원전·재생 에너지 갈등 속에서 기후 리더십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3. 중앙아시아 정상회의 개최

 

  • 6월 16~18일 카자흐스탄 아스티나에서 제2차 중국ㅡ중앙아시아 정상회의가 열렸습니다.
  •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중앙아시아 5개국 지도자들이 참석해 24개 협약 체결(에너지, 디지털, 우주, 과학 등)하고 향후 '3대 센터' 설치 약속, 제3차 회의 2027년 개최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4. 태국 정치 위기 고조

 

  • 총리를 중심으로 한 통화 내용이 외부로 유출되며 연립 정부 붕괴 위기에 직면, 주요 연정당의 이탈로 국정 불안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6월 19일에는 총리가 언론 브리핑과 군부 지지 표명에도 불구하고 의회 해산·조기 총선 요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5. 캄보디아–태국 국경 분쟁 지속

 

  • 5월 말 발생한 국경 소규모 교전 이후, 양국 병력 증강 및 외교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 캄보디아는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 추진, 태국은 협상 방식 주장하며 양측 긴장 국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