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슈 7/1

2025. 7. 1. 11:24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728x90
반응형

국내이슈

 

1. 🇰🇷 경제·무역

 

  • 제조업 PMI 호전: 6월 S&P PMI는 47.7→48.7로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선(50) 아래로 제조업 5개월 연속 위축. 다만 내수 회복세, 기업들의 미래 생산에 대한 기대감 상승.
  • 수출 반등: 6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 특히 반도체 수출이 +11.6% 급증. 수입 증가(+3.3%)로 무역흑자 $9.08 억, 2018년 9월 이후 최대 폭.
  • 미·관세 연장 협상: 미국의 한국산 수입관세 90일 유예 연장을 7월 8일 결정 예정. 우리 정부는 적극 연장 추진 중.
  • 김치 본드 규제 해제: 외화 유입·원화 안정 등을 목표로 도입 재허용. 안정화 효과 기대되지만, 기업 수요는 있으나 달러 조달 비용 문제는 존재.
  • 세수 호조: 5월 국세수입 30.1조원, 전년동월 대비 +4.7조원 증가. 해외 주식 차익 과세 급증이 큰 몫.

2. 환경·사회

  • 사랑벌레(러브버그) 창궐: 기후변화 여파로 번식 급증, 등산객·도시민 민원 증가. 살충제 사용 자제하면서 물분무·빛 트랩 등 대응 중. 성충 생명력 짧아 7월 중순 이후 자연 수렴 예상.
  • 필수의료 강화: 오늘(7/1)부터 대형병원 아닌 지역 의료기관도 야간·휴일 진료 시 보상 확대. 소아·분만·응급진료 체계 강화.

3. 정치·사회

  • 전직 영부인 김건희 씨 조사: 김건희 전 영부인, 주가 조작·선거 개입·명품 선물 등 16가지 의혹 조사 중.
  • GP 복원: 2018년 남북 평화조치로 철거했던 최전방 경계초소 11곳복원 완료.

4. 인구·문화

  • 출생 증가 완만 회복: 4월 기준 출생아수 20,717명(+8.7%), 30~34세 여성 인구 증가 및 결혼율 상승 덕분. 하지만 합계출산율은 여전히 0.75로 초저출산 위기 지속.
  • 7월 국내 개봉작: ‘Omniscient Reader: The Prophet’ 등 주요 한국 신작들이 7월 중순 이후 개봉 예정.

 

5. 전국 미세먼지 (2025년 7월 1일)

 

  • 2025년 7월 1일 전국 미세먼지는 ‘보통’(Moderate) 수준입니다.
  • 일부 공업도시(구미, 원주 등)는 ‘민감군 주의’ 수준(AQI 60~70),
  • 수도권·강원 일부 지역은 ‘좋음’ 수준입니다.
  • 대부분 국민은 야외활동에 큰 문제 없지만,
  • 어린이·노약자 등은 오염지역에서 주의하세요.

 

6. 전국 주유소 휘발.경유 가격 동향 (2025년 7월 1일)

⛽ 평균 유류가격 (₩/리터, 부가세 포함)

  • 보통 휘발유: 약 1,668.5원
  • ▶ 전일 대비 약 +0.5원 상승
  • 자동차용 경유: 약 1,532.0원
  • ▶ 전일 대비 약 +0.4원 상승

💡 참고

  • 최근 2주 연속 유류 가격이 상승 추세 
  • 국제 유가 하락에도 국내 세금·물류비 영향으로 휘발유 +27원, 경유 +29원 증가 

 

7. 스포츠 경기일정 (2025년 7월 1일)

 
⚾ 국내 – KBO 리그

  • 대전(신)구장 18:30
    • 한화 이글스 vs NC 다이노스
    • NC 선발 라일리 / 한화 선발 와이스
  • 잠실 구장 18:30
    • 롯데 자이언츠 vs LG 트윈스 

두 경기 모두 정규 시즌 경기입니다.


⚾ 해외 – MLB (메이저리그)

  • 2025년 7월 1일 MLB 경기 일정
    • (해당 일정은 오늘 열리는 경기 목록이 없습니다)

※ 필요하시면 특정 팀(예: 양키스, 다저스 등) 일정도 조회해드릴게요!


⚽ 해외 축구 – 클럽월드컵

  • FIFA 클럽 월드컵
    • 시간: 01:00 (한국시간)
      • PSG vs 인터 마이애미
    • 시간: 05:00
      • 플라멩고 vs 바이에른 뮌헨 

※ EPL 및 브라질·독일 리그 등은 시즌 종료로 7월 1일 경기는 없습니다.
 


국제이슈

 

🌐 1. 국제 정치·외교

  • 美 상원 ‘One Big Beautiful 법안’ 표결 돌입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대규모 세금·지출 법안 상원에서 ‘vote‑a‑rama’ 절차로 본격 심사 중입니다.
  • CBO는 10년 간 국가부채 3.3조 달러 증가를 예상하며 비판적 입장을 보이고, 일부 공화당 의원(틸리스, 랜드 폴 등)이 이를 반대하고 있어 당내 분열도 드러나는 상황입니다.
  • 트럼프 행정부, 시리아 대(對)제재 철회 명령
  • 미국 시리아에 대한 제재 프로그램을 철회하면서 시리아의 국제 금융 통로 복귀가 가능해졌습니다.
  • 쿼드 외교장관 회의 개최 예정
  • 7월 1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주도로 인도·호주·일본 외교장관들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회동할 예정입니다. 중국 견제 방안이 주요 의제입니다.
  • 캐나다·영국·EU 등과 호주·일본·인도 등 관계 변화 감지
  • 쿼드 협력 체계 강화 논의와 양자관계 조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한 양상입니다.

2. 국제 안보·분쟁

  • 러시아, 우크라이나에 야간 공습 감행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537발에 달하는 폭격을 실시했습니다.
  • 이란, ‘정부 반대’ 성명 강화
  • 이란 최고지도자 모욕 금지 법안과 파툰이 계속 강화되고 있다는 보도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3. 국제 경제·통상

  • 美‑캐나다 디지털세 협상 재개
  • 캐나다가 미국 대형 IT 업체에 대한 디지털세를 철회하면서 양국 간 무역협상이 다시 진행되고 있습니다.
  • 그러나 “해방일(Liberation Day)” 7월 9일 재관세 가능성 경고와 더불어 시장은 여전히 긴장 상태입니다.

🎾4. 국제 스포츠

  • 윔블던 테니스 대회 개막(6/30~7/13)
  •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윔블던 대회가 시작됐습니다.
  • 세계 1위 시너, 디펜딩 챔피언 알카라스 등 남녀부 정상급 선수들이 참가합니다.
  • BBC와 ESPN 등을 통한 전 세계 생중계가 이어집니다.

아시아 이슈

 
 

🇨🇳 1. 중국 – 홍수 경보

중국 중남부 지역에 강한 몬순 장마가 일찍 찾아오면서 안후이·허난·후베이·후난·귀저우·광시 등에서 ‘최고 수준(red)’ 홍수 경보가 발령되었습니다.
리수이강 수위가 안전 기준보다 2m 이상 상승, 충칭·광둥 등에서도 기록적 피해가 발생했고, 수송·전력망과 농업 인프라에 큰 타격이 우려됩니다.


🇯🇵 2. 일본 – 경기·물가 흐름

  • 제조업 PMI: 6월 일본 제조업이 13개월 만에 회복세로 전환(50.1)했지만, 신규 주문은 여전히 부진하며 수요 회복은 불확실합니다.
  • 식품 물가 급등: 7월부터 주요 식품·음료류 가격이 전년 대비 평균 15% 인상 예정. 아지노모토(커피류+25~55%), 메이지(치즈·우유+11%) 등 큰 폭 상승 예고.

🇰🇷 3. 한국 – 수출 회복

한국의 6월 수출이 4.3% 증가, 특히 반도체 등 기술 품목 수출 호조가 주요 요인이나, 미·중 수출은 여전히 둔화 상태입니다.


🌏 4. 아시아 금융시장

  • 아시아 주식시장 상승: 미국‧캐나다 무역협상 재개 등 대외 리스크 완화로 일본 닛케이 +1.0%, 한국 코스피 +0.7% 상승.
  • 통화시장 변화: 중동 정세 긴장 완화로 달러 약세, 아시아 통화 강세로 전환. 그러나 이란·이스라엘 갈등이 다시 고조되면 리스크 재확산 가능성.

🇹🇭 5. 태국 – 정치·경제 리스크

  • 헌법재판소, 총리 해임 청원 심의: Paetongtarn Shinawatra 총리에 대한 해임 청원이 오늘(7/1) 심리됩니다.
  • 경제 둔화 지속: 5월 관광·제조업 동시 위축, 관광객 감소·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민간 소비·투자 감소로 경제 전반이 위축 중.

6. 기타 동남아 경제 동향

  • 동남아 1분기 성장 둔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베트남 등 주요국 성장률 하락, 일부 국가는 성장 전망치 하향 조정 중. 무역·투자부진의 영향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