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두 아들에게 재개발 부동산 증여…불로소득·증여세 회피 의혹 총정리
2025. 6. 15. 00:44ㆍ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728x90
반응형
이한주 위원장의 부동산 대물림 방식과 리엔파트너즈를 통한 증여세 회피 구조 분석
📌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이 10대 두 아들에게 부동산을 선물한 이유는?
이한주 위원장이 사들인 땅이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면서 재개발로 인한 시세 차익이 예상되는 부동산을 두 아들에게 선물한 것입니다.
💡 이한주 위원장이 두 아들에게 부를 대물림한 다른 사례는?
부동산 임대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고 두 아들에게 회사 주식 12.5%씩을 보유하게 하여 임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뉴스타파의 보도에 따르면,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부부가 지난 30년간 부동산 투기를 통해 막대한 시세차익과 임대수익을 얻었으며, 특히 어린이날에 두 아들에게 재개발 예정지의 상가를 증여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또한, 재개발 사업 추진이 확실시되던 시점에 아들에게 땅을 물려주어 불로소득을 얻게 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습니다. 이 위원장은 부동산 임대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여 자녀들에게 지분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증여세 회피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부동산 문제점을 강하게 비판하며 불로소득 환수를 주장했던 이 위원장의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사회 지도층의 도덕적 해이가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내용입니다.
1. 🏢 이한주 위원장의 부동산 투기 의혹: 두 아들에게 증여된 상가
- 뉴스타파는 이한주 위원장 부부가 아파트와 상가 투기를 통해 막대한 시세 차익과 임대 수익을 얻어왔음을 확인했다.
- 이 위원장은 2005년 5월, 서울 영등포구의 주상복합 건물과 대지를 매입한 직후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었다.
- 이 매매가 투기성인지 의심되지만, 진짜 의혹은 상가 두 곳이 이 위원장의 장남과 차남에게 소유권이 있다는 점이다.
- 두 아들이 해당 상가를 소유하게 된 날짜는 어린이날인 2005년 5월 5일이며, 당시 나이는 각각 15세와 12세였다.
- 이 위원장은 어린이날 초등학생과 중학생인 두 아들에게 재개발로 시세 차익이 예상되는 부동산을 선물한 것으로 확인된다.
2. 🚨 2021년 이한주의 추가 부동산 증여
- 2020년 11월, 이한주 위원장의 땅과 두 아들의 상가가 있는 영등포 1-11구역 재개발조합 설립이 승인되었다.
- 2021년 5월 3일, 재개발 사업 추진이 확실시되던 시점에 이한주 위원장은 두 아들에게 자신이 갖고 있던 땅을 절반씩 증여하였다.
- 이한주 위원장이 사주고 또 물려줌으로써 두 아들이 보유하게 된 부동산에는 몇 년 내로 신축 주상복합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 두 아들은 각각 최소 수억 원대의 시세 차익을 챙길 것으로 추정된다.
3. 📚 이한주의 부동산 비판과 반대되는 행보
- 2021년, 이한주 위원장은 책을 발간하여 부동산 문제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 그는 부동산 투기를 통해 얻는 불로소득을 환수하자는 부동산 제도를 강조했다.
- 하지만 정작 동일한 해에 두 아들에게 땅을 물려주어 불로소득을 얻게 도왔다.
4. 💼 리엔 파트너즈를 통한 부동산 증여세 회피 구조
- 이한주 위원장은 2017년 경기도 성남에 리엔 파트너즈라는 부동산 임대 컨설팅 회사를 설립하였다.
- 성남시 상가 두 채를 회사의 현물로 출자한 후, 이 회사의 유일한 사내 이사는 이 위원장의 배우자인 박 모 씨로 확인되었다.
- 이 위원장의 두 아들은 회사 설립 직후부터 주식 12.5%씩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75%는 위원장 본인이 소유하고 있다.
- 개인이 부동산 임대 수익을 자녀에게 바로 나눠줄 경우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증여세를 내야 하지만, 회사를 통해 임대료를 수령하면 증여세 부담이 없다.
- 이한주 위원장은 이 구조를 통해 소유 부동산에서 나오는 임대 또는 판매 수익의 일부를 두 아들이 손쉽게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5. 🏠 이한주 위원장의 부동산 증여 해명과 논란
- 이한주 위원장은 본인과 가족의 부동산 보유가 부동산 투기나 부의 대물림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인정했다.
- 그는 민법이 가족 간의 증여를 인정하고 있으므로, 증여 과정에서 증여세가 정상 납부되었는지 여부가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말했다.
- 아이들에게 부동산을 증여하면서 고의적으로 증여세를 탈루한 적이 없다는 점과 사회 지도층에게 요구되는 도덕적 기준을 인지하고 있음을 밝혔다.
728x90
반응형
'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후 CEO 짐 랜존의 끈기와 인내 리더십: 조직 재건을 이끈 성실경영 철학 (23) | 2025.06.15 |
---|---|
이국종 복지부 장관 추천 배경: 부산시 의사회가 밝힌 의료 정상화의 해법 (4) | 2025.06.15 |
2025 반도체 패키징 소부장 산업전 총정리 – 첨단 기술과 정부 R&D지원까지 한눈에! (3) | 2025.06.14 |
ISEC 2025 국제 시큐리티 콘퍼런스 완전정리: 서울 코엑스 보안 트렌드·사전등록 정보 (23) | 2025.06.14 |
2025 세계 제약·바이오 전시회 총정리: CPhI Korea부터 INTERPHEX까지 사전등록 안내 (13) |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