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고향 세탁’ 논란 재점화… 대선 앞두고 정치적 진정성 시험대”

2025. 5. 1. 00:02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728x90
반응형
SMALL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 가능성이 정치권의 주목을 받는 가운데, ‘고향 세탁’ 논란이 재점화되며 지역 사회와 정치권 전반에 파장이 일고 있다. 2025년 4월 30일 전북 지역 변호사 100여 명은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총리는 전북 출신임에도 정권과 상황에 따라 고향을 서울로 표기하는 등 정체성을 바꿨다”며 강한 비판을 제기했다. 이들은 “정권에 줄 서기 위해 고향마저 외면한 인물이 대선을 논하는 것은 도민에 대한 배신”이라며 공개 사과와 정계 은퇴를 요구했다.

이 논란의 배경은 한덕수 총리가 과거 국무총리로 임명되던 2007년 인사청문회 당시부터 제기됐다. 당시 국회 청문회에서 한 의원은 “고향이 전주인데 서울로 표기한 이유가 호남 출신에 대한 차별을 피하려는 의도 아니냐”고 질의했고, 이에 대해 한 총리는 “그런 적이 없다”며 부인했다. 그는 “과거에는 본적과 원적을 구분해 쓰던 시기였고, 행정상 착오나 혼동이 있었던 것 같다”고 해명했지만, 명확한 책임 인정은 없었다.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린다. 여권 일부에서는 “한 총리는 행정 전문가로서 대외 이미지와 안정감 있는 리더십을 지녔다”며 대권 주자로서의 역량을 긍정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당 내 중진 의원들조차 “지역 정체성에 대한 왜곡은 정치적 치명타가 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야권은 더 강경하다. “전북 출신임을 숨기고 권력만을 좇아온 인물이 지역민을 대표할 자격이 있느냐”며 퇴진론까지 주장하고 있다.

전북 지역 정서도 심상치 않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평소 전북 현안에 침묵하다가 대선을 앞두고 고향을 언급하는 것은 도민을 도구화하는 것”이라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특히 농촌·비수도권 소외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지역을 대표한다고 나선 인물의 일관되지 않은 행보는 감정적 반발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총리는 현재 대통령 권한대행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대선 출마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는 경제 전문가 출신으로 중도층을 흡수할 수 있다는 전략적 이유로 그를 거론하지만, 고향 논란과 지역 반발은 그의 확장성에 제약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국민 정서와 진정성을 중시하는 정치 흐름에서 과거 행적이 재조명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변수다.

결국 이 논란은 단순한 표기 오류 이상의 정치적 상징성을 지닌다. 고향은 정체성과 공동체의 뿌리를 나타내는 요소이며, 이를 상황에 따라 조정했다는 비판은 정치적 진정성, 책임감, 공정성과 직결된다. 앞으로 한 총리가 어떤 방식으로 해명하고 지역민과 소통할지가 대권 도전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