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 자전거 주행, 도로에 전세 냈나? 시민 불만 쏟아지는 이유 "

2025. 4. 8. 17:01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반응형
SMALL

 


주말 오전, 서울의 한 도심 도로. 왕복 4차선 도로 한쪽을 자전거 무리 수십 대가 줄지어 달린다. 빠른 차량 흐름 속에서도 전혀 비켜설 기미는 없다. 일부 차량은 속도를 줄이며 급하게 차선을 변경하고, 뒤따르던 운전자들은 경적을 울리거나 아찔한 추월을 감행한다. 최근 이런 단체 자전거 주행에 대한 시민들의 불만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도로를 전세 냈냐"는 표현은 단순한 과장이 아니다. 실제로 많은 자전거 이용자들이 차선 한 개 이상을 차지하고 느리게 주행하며, 뒤따르는 차량 흐름을 심각하게 방해하고 있다. 교차로나 신호등 구간에서도 줄지어 서 있다가 동시에 출발해 주변 차량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리는 경우도 빈번하다. 도로교통법상 자전거는 ‘차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도로 주행이 가능하긴 하지만, ‘도로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라는 조건이 붙는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특히 동호회 중심의 단체 라이딩이 많아지는 주말이나 이른 아침 시간대에는 도로가 마치 자전거 대회장이 된 듯한 착각을 일으킬 정도다. 도로를 달리는 차량 속도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며 안전사고 위험도 덩달아 커진다. 자동차 운전자들은 갑작스러운 정지나 차선 변경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

한 택시 운전사는 “다 좋다. 자전거 타는 건 건강에도 좋고 환경에도 좋은데, 왜 끝까지 안 비키는지 모르겠다”며 “뒤따르는 차량 생각은 안 하는 건가”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자전거와 차량 간 충돌 사고는 2024년 기준 전국적으로 3,000건 이상 발생했으며, 이 중 다수가 차량의 급정거나 시야 확보 실패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자체와 경찰청은 자전거 단체주행 사전 신고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특정 시간대 주요 도로에서의 단체 라이딩을 제한하는 행정지침이 내려졌으며,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 유도, 홍보 강화 등 다각적 대책이 논의되고 있다.

자전거 이용자 측에서는 “우리는 법적으로 도로를 달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하지만 운전자들의 위협적 운전이나 고의적인 경적도 문제다”라고 항변한다. 일부 운전자들은 자전거를 마치 방해물처럼 취급하며 가까이 접근하거나 급하게 끼어드는 등 위험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 경우도 있다. 결국 갈등은 양측 모두의 인식과 행동에서 비롯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이제 자전거도 단순한 레저 수단이 아니라 도시 교통의 일부로 봐야 한다”며, “그에 걸맞은 교통 인프라와 규범, 그리고 시민의식 개선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네덜란드, 덴마크 같은 자전거 선진국들은 자전거도로의 물리적 분리와 주행 질서 교육을 통해 차량과 자전거가 충돌 없이 공존하는 문화를 정착시켰다.

도로는 누구의 것도 아니다. 차량이든 자전거든, 보행자든 서로를 배려하며 사용하는 공동의 공간이다. 자전거는 이제 취미를 넘어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렇다면 그에 맞는 성숙한 문화와 규칙, 그리고 최소한의 ‘배려’가 필요하다. 도로 위에서의 작은 양보가 큰 안전을 만든다. 지금 필요한 건, 서로를 향한 배려 한 조각이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