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30. 17:06ㆍ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 가능성에 대해 다수 국민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근 발표된 두 건의 주요 여론조사 결과에서 응답자 과반이 ‘출마는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밝혀, 현실 정치 무대에서의 한 권한대행의 입지에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지난 4월 22일부터 2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한 권한대행의 출마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70%에 달했다. 반면 ‘적절하다’는 응답은 23%에 불과했고, 7%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특히 연령대별로 보면 40대와 50대에서 부정 응답 비율이 80%에 육박해 중장년층 유권자들의 반감이 두드러졌다.
또한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수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출마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응답은 66%로 집계됐으며,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2%에 그쳤다. 특히 정치 성향별로는 중도층의 73%, 진보층의 85%가 출마에 부정적이었으며, 보수층에서도 45%가 부정 평가를 내렸다. 이는 특정 진영을 넘어선 국민적 우려를 보여주는 수치로 해석된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단순히 개인의 지지 여부를 넘어,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는 헌정상 특수한 직위에서 대선 출마 논의가 나오는 것에 대한 도덕적 우려와 제도적 불편함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 원수의 권한을 위임받은 상황에서 본인의 정치적 야망을 실현하는 것은 정당성을 얻기 어렵다는 시선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권 내부에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정대철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은 “국민적 지지가 커지고 있어 한 권한대행이 출마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가 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 일부 여권 인사들은 그의 비정치인 이미지와 안정감 있는 리더십을 근거로, 본선 경쟁력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야권은 전면 반발하고 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에서는 "권한대행이라는 위치는 대통령 부재 상황에서 헌법적 중립성을 수호해야 하는 자리이며, 이를 개인 정치 행보의 발판으로 삼는 것은 명백한 헌정 질서 훼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또 권한대행으로서의 결정이 향후 대선 전략과 연결된다면, 공정성 시비와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정치적 계산과는 별개로, 한 권한대행 본인이 이러한 여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판단할지가 관건이다. 여론은 단순 수치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국민적 정당성 없이 출마를 강행할 경우, 향후 선거전에서 정치적 역풍을 피하기 어렵다. 정계 복귀를 꿈꾸는 인물로서, 지금은 ‘출마할 수 있느냐’보다 ‘출마해야 하느냐’는 근본적 질문에 답해야 할 시점이다.
'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텔레콤, 5월 14일부터 해외 로밍 중 유심보호서비스 전면 적용” (3) | 2025.04.30 |
---|---|
"65세 노인 기준 폐지되나? 정부, 70세 상향 논의 본격 착수" (5) | 2025.04.30 |
"이재명, 대법원 초고속 선고에 7글자 반응…“법대로 하겠지요”" (1) | 2025.04.30 |
"SKT 유심 해킹 청문회…유영상 대표 국회 출석, 고객정보 유출 사과" (1) | 2025.04.30 |
"윤석열 부부-건진법사 전성배 유착 의혹…검찰, 아크로비스타 전격 압수수색"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