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4. 00:01ㆍ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추진 중인 고율 수입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 긴장에 불을 지피고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을 선언하며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 자동차와 철강 등 주요 품목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적자를 줄이겠다는 명분으로 시행되었으며,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전략이 본격화된 상징적 조치로 평가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은 정반대의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미국산 자동차에 부과하던 10%의 관세를 2.5% 수준으로 인하하라는 미국의 강한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측은 영국이 관세를 낮추지 않을 경우 자국의 자동차 수출 산업이 손해를 입게 된다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시장의 개방성에 비해 영국의 관세 장벽이 높다고 주장하며,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영국도 관세를 낮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압박은 영국 자동차 산업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이 영국산 자동차에 25%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럭셔리카 브랜드를 중심으로 수출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국 내 주요 자동차 공장들은 일시적인 생산 축소와 고용 조정 가능성까지 검토 중인 상황이다. 영국 재무장관 레이첼 리브스는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곧 워싱턴을 방문할 계획이며,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관세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영국의 요구가 관철될지는 불확실하다. 백악관 대변인은 “최종 결정은 대통령의 판단에 달려 있다”며 여지를 남겼고, 미국 내에서도 자동차 산업 보호론과 시장 개방론이 충돌하고 있다. 특히 미국 노동계는 고율 관세가 국내 일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정책에 지지를 보내는 한편,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공급망과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양국 간 자동차 관세 문제는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향후 미·영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의 향방을 가를 시험대로 작용할 전망이다. 트럼프의 강경한 통상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영국을 비롯한 주요 무역 파트너들이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 주목된다.
'일상의 간단 명료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네 프랑크가 전한 삶의 조언: 절망 속 성실·희망·평화의 메시지" (23) | 2025.04.24 |
---|---|
“활주로 1,200m? 울릉공항 건설 논란… 안전·환경·주민 갈등 확산” (6) | 2025.04.24 |
"국민의힘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투약 혐의로 구속…정치권 도덕성 논란 확산" (4) | 2025.04.24 |
“이재명, 개헌보다 민생 먼저… ‘지금 개헌, 시기상조’ 발언 배경은?” (4) | 2025.04.24 |
“이재명 ‘지구의 날’ 기후공약 발표: 탈석탄·순환경제·COP33 유치까지” (12) | 2025.04.23 |